한국의 선진 기술로 인도네시아 댐 안전관리 강화, 안정적 농업용수 공급 기대
[농축환경신문]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공사)는 11월 19일부터~20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와 반텐주 일원에서 2026년 신규사업인 ‘농업용 댐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사업’ 추진을 위해 현장을 점검하고 인도네시아 정부와 면담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일정에는 농식품부 문경덕 서기관과 공사 최찬원 농식품국제개발협력센터장이 참여해 인도네시아 공공사업부 수자원청(DGWR) 관계자들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인도네시아는 전국 255개 농업용 댐 가운데 70% 이상이 준공 후 20년이 지난 노후 시설로, 집중호우와 홍수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이 커 관리체계 정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댐 붕괴 등 재해를 예방하고 농업용수 공급을 안정화하기 위해 한국의 선진 안전관리 기술을 도입하기로 하고 양국 간 실질적인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양측은 2026년부터 2029년까지 추진될 ‘댐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사업’의 세부 계획을 공유하고, 현지 조사와 안전진단, 통합 감시 시스템 구축, 전문가 파견 등 다양한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문경덕 서기관은 “한국은 ICT 기반의 댐 안전진단과 통합 관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한국 기술과 인도네시아의 현장 경험이 결합하면 보다 효과적인 안전관리 체계가 구축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장방문 일정에는 카리안댐(Karian Dam) 점검도 포함됐다. 농식품부와 공사 관계자들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차관으로 추진되고 있는 다목적댐의 시공 및 운영 상황을 확인하고, 향후 추진될 ‘댐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사업’의 시범 적용 가능성을 검토했다. 카리안댐은 자카르타와 반텐, 땅그랑 지역에 생활·공업·농업용수를 공급하는 핵심 수자원 시설로, 한국 기술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될지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최찬원 센터장은 “이번 방문은 한국의 안전관리 기술이 인도네시아 주요 기반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직접 살펴본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향후 양국 간 기술 교류 확대 의지를 밝혔다.
이번 출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수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인도네시아 정부의 의지와 한국의 기술력이 결합해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체계를 구축할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인도네시아 수자원청 드위퓨완 토로 청장은 한국의 통합 안전관리센터 구축 모델과 안전진단 기술에 깊은 관심을 밝히며, 향후 마스터플랜 수립 단계부터 한국의 기술 자문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농식품부와 공사는 이번 방문 결과를 토대로 2026년 상반기 중 세부 타당성 조사와 협의의사록(RoD) 체결을 추진하고, 본 사업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