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환경신문]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2025년 10월 기준 케이-푸드 플러스(K-푸드+) 수출액이 전년 동기보다 5.7% 증가한 112.4억달러(누적, 잠정)를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K-푸드+는 농식품(신선·가공)과 농산업(동물용의약품, 농약, 비료, 종자 등)을 포괄한다.
농식품(K-푸드) 수출액은 85.9억달러로 전년 대비 5.0% 증가했다. 권역별로는 중동(GCC, 20.4%↑), 유럽연합(EU+영국, 14.8%↑), 북미(13.9%↑) 순으로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7~10월에는 미국 시장이 정체된(0.6%↑) 가운데 중동(23.5%↑)과 중화권(7.7%↑) 수출이 크게 늘었다. 중동에서는 아이스크림(80.7%↑), 음료(80.3%↑), 소스류(33.9%↑)가, 중화권에서는 라면(62.9%↑), 조제품(19.4%↑), 포도(122.7%↑)가 호조를 보였다.
주요 품목별로는 라면(21.7%↑), 조제품(13.6%↑), 커피조제품(21.3%↑), 김치(6.4%↑), 포도(50.9%↑), 아이스크림(22.1%↑)이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라면은 매운 볶음면 열풍과 K-콘텐츠 마케팅, 유통망 확장에 힘입어 중국(54.4%↑), CIS(43.8%↑), 일본(24.0%↑), 미국(21.3%↑) 순으로 증가했다.
조제품은 이너뷰티 제품 등 K-건강기능식품의 인기가 확산되며 중국(17.7%↑), 유럽(48.5%↑) 중심으로 상승했다.
커피조제품은 프리미엄 원두와 저당 제품 수요 증가로 유럽(63.1%↑)에서 특히 성장했다.
김치는 일본(4.4%↑)을 비롯해 캐나다(17.6%↑), 대만(11.8%↑)에서 꾸준히 증가했으며, 포도는 대만 수출용 사전등록제 정착으로 192.1% 급증했다.
아이스크림은 미국·캐나다·유럽을 중심으로 저지방·식물성 제품 수출이 확대되며 20% 이상 성장했다.
농산업 분야 수출은 26.4억달러로 7.8% 늘었다. 동물용의약품(24.9%↑), 농약(16.0%↑), 비료(10.5%↑), 종자(9.9%↑) 등 주요 품목 모두 고르게 증가했다.
특히 동물용 영양제 ‘라이신’은 유럽 내 중국산 대체 수요가 늘며 네덜란드(223.2%↑), 스페인(69.4%↑) 등에서 수출이 급증했다.
농약은 베트남(43.1%↑), 인도네시아(148.5%↑)를 중심으로 완제품 수요가 확대됐고, 비료는 국제 가격 상승 효과로 동남아 시장에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종자 분야에서는 한국산 고추 종자의 수출이 미국·중국 등에서 34% 이상 증가했다.
김정욱 농업혁신정책실장은 “품목별 주력 시장은 다르지만, K-푸드의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연말까지 정책자금 지원, 물류·통관 애로 해소, 글로벌 마케팅 강화 등을 통해 올해 K-푸드+ 수출 목표 140억달러 달성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