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환경신문] 농촌진흥청은 오는 25일 농업생물부에서 ‘누에 스마트 생산 시스템 시연회 및 청년 농업인 양성을 위한 양잠농업인 간담회’를 연다.
이날 행사는 기후변화와 농촌 인력 부족 문제에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미래 양잠산업 모형을 제시하고, 청년 양잠농업인 육성을 지원하자는 취지에서 개최된다.
농림축산식품부, 도 잠업 기관 등 정부 관계자를 비롯해 대한잠사회, 한국양잠연합회, 청년 양잠농업인, 식품 전문가 등 5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국립농업과학원은 개발 후 시험 운영을 성공적으로 마친 ‘누에 스마트 생산 시스템’을 시연한다. 사육상자 운반 장치, 인공사료 급이장치, 사육부산물 제거·관리 장치로 구성돼 있고, 사물인터넷(IoT) 감지기(센서)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점검(모니터링)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면 인공사료 공급과 사육부산물 제거·관리를 고속으로 자동 처리할 수 있어 시간당 2만 5,000두의 누에 생산이 가능하다. 기존 수작업 방식과 비교해 작업시간과 노동력이 크게 줄어 양잠 농가 생산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사물인터넷 감지기로 사육실 내부의 온도, 습도 등 환경 요소를 24시간 정밀하게 제어해 최적의 누에 생육 조건을 제공한다. 이상기후, 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양잠 농업인이 활용할 수 있도록 환경 변화, 질병 등 문제점을 미리 탐지하는 스마트 관리 체계도 갖췄다.
농촌진흥청은 시험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개선해 누에 사육 농가에 기술을 보급할 예정이다. 또한, 꽃벵이(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등 다른 식용곤충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해 곤충산업 전반의 스마트화를 이끌 계획이다.
한편, 이날 누에 스마트 사육 기술, 홍잠.백강잠 연구 등 기능성 양잠과 관련한 올해의 주요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 대한잠사회 지원사업과 협력 방안도 논의한다. 문화요리전문가가 누에와 오디 뽕잎 등을 활용한 조리법도 시연한다.
농촌진흥청 산업곤충과 변영웅 과장은 “누에 스마트 사육 시스템은 양잠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경쟁력 제고를 도울 지속 가능한 사육 모형이 될 것”이라며, “이 시스템이 청년 농업인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양잠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확장되는 계기가 될 수 있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