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환경신문]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25일 농업생물부에서 ‘누에 스마트 생산 시스템 시연회 및 청년 농업인 양성을 위한 양잠농업인 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기후변화와 농촌 인력 부족 문제에 대응할 지속 가능한 미래 양잠산업 모델을 제시하고, 청년 양잠농업인 육성을 지원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도 잠업 기관 등 관계 공무원, 대한잠사회, 한국양잠연합회, 청년 양잠농업인, 식품 전문가 등 5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행사에서는 국립농업과학원이 개발해 시험 운영을 성공적으로 마친 ‘누에 스마트 생산 시스템’이 공개된다. 이 시스템은 사육상자 운반 장치, 인공사료 급이장치, 사육부산물 제거·관리 장치로 구성돼 있으며, 사물인터넷(IoT) 기반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이를 활용하면 인공사료 공급과 사육부산물 처리 과정을 고속으로 자동화할 수 있어 시간당 2만5,000두의 누에 생산이 가능하다. 기존 수작업 방식 대비 작업시간과 노동력을 크게 줄여 양잠 농가의 생산성 향상이 기대된다.
또한 사물인터넷 센서를 통해 온도·습도 등 사육 환경을 24시간 정밀하게 제어하고, 환경 변화나 질병 등 문제를 사전에 탐지할 수 있어 이상기후와 인력 부족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전망이다.
농촌진흥청은 시험 운영 결과를 반영해 시스템을 개선한 뒤 누에 사육 농가에 관련 기술을 보급할 계획이다. 꽃벵이(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등 다른 식용곤충으로 활용 범위를 넓혀 곤충산업 전체의 스마트화를 추진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이날 행사에서는 누에 스마트 사육 기술, 홍잠·백강잠 연구 등 기능성 양잠 관련 주요 연구 성과가 소개되며, 대한잠사회 지원사업과 협력 방안도 논의된다. 더불어 문화요리전문가가 누에, 오디, 뽕잎 등을 활용한 다양한 조리법을 시연해 양잠산업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변영웅 농촌진흥청 산업곤충과장은 “누에 스마트 사육 시스템은 양잠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경쟁력 강화를 이끌 지속 가능한 사육 모형”이라며 “청년 농업인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양잠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