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대나무 숲 1ha(6,200본)에서 연간 33.5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흡수량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는 나무인 소나무 9.7톤, 상수리나무 16.5톤, 벚나무 9.5톤 등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준이다.
대나무 한그루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연간 5.4kg로, 이는 대나무 922그루가 있으면 4인 가족 한 가구의 이산화탄소 연간 배출량 4.98톤을 상쇄할 수 있는 양이다.
현재 우리나라 대나무 숲은 약 22,000ha가 분포되어있으며, 이는 4인 가구 기준 약 15만 가구의 온실가스를 상쇄하는 양이며, 안양시 전체 인구(56만 7천명) 이상이 가정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상쇄할 수 있는 양이다.
대나무는 온실가스 흡수 외에 피톤치드를 다량 방출하여 항염, 향균, 스트레스 조절 등 인체에 다양한 건강효과를 제공하며, 화장품 및 피부미용 소재, 전통 생활 소가구, 인테리어·조경용 소재, 그리고 관광산업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결과 대나무는 온실가스 흡수 외에 바이오매스 생산량 또한 타 수종에 비해 뛰어나, 연간 400,000톤 이상이 생산된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