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환경신문]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은 2026년 청년귀농 장기교육 신규 운영기관으로 8개 기관을 최종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청년귀농 장기교육은 영농 경험이 부족한 만 40세 미만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실습 중심 장기체류형 교육과정으로, 안정적인 농업·농촌 정착과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신규 운영기관 선정은 한 달여간의 공모 접수(9월 23일~10월 17일)와 서류 및 발표 심사(10월 20일~31일)를 거쳐 8개 기관이 최종 확정(11월 7일)됐다. 올해 장기교육 운영기관은 기존 5개 기관을 포함해 총 13개 기관에서 내년 1월부터 교육을 시작할 예정이다.
농정원은 이번 장기교육 운영기관 지정 기간을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확대하고, 교육 성과평가 우수기관(최근 2년간 평균 A등급 이상)은 지정 기간을 자동 연장한다. 또한, 교육강사 비율을 기존 50%에서 80%로 높여 기관의 교육 전문성을 강화한다.
교육과정 구성도 개선된다. 기존에는 귀농귀촌 필수 공통과목(귀농귀촌 이해 및 지원정책, 농업·농촌 이해, 지역주민과의 융화·갈등 관리)을 각 기관이 자체 운영했으나, 2026년부터는 온라인 콘텐츠로 통합 관리된다. 교육생은 농업교육포탈에서 해당 교과목을 한 번만 수강하면 되며, 기관은 심화 교육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농정원은 체계적인 관리와 현장 컨설팅, 성과평가, 사후관리를 통해 청년귀농 장기교육의 품질을 높일 계획이다.
윤동진 원장은 “이번 신규기관 조기 선정과 운영체계 개선은 청년들의 농업 진입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며, “앞으로도 청년 농업인이 안정적으로 농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교육 운영 개선, 신규 교육 발굴, 컨설팅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