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 대비 0.3% ↑

김대경 기자

press@nonguptimes.com | 2024-05-06 15:28:47

곡물(0.3%), 유지류(0.3%) 및 육류(1.6%) 가격은 상승
유제품(△0.3%) 및 설탕(△4.4%) 가격은 하락
영농형 태양광 하부 벼 재배 수확 연시회 (자료DB)

[농축환경신문]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4년 4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3% 상승한 119.1포인트를 기록했다. 품목군별로 곡물과 유지류, 육류 가격은 상승하였고 유제품 및 설탕 가격은 하락했다.

2024년 4월 품목군별 가격지수 변동원인

◇ (4월 곡물 가격지수) 111.2포인트 (전월 110.9포인트 대비 0.3% 상승)

4월 국제 밀 가격은 큰 변동이 없었다. 유럽연합, 러시아,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 밀 작황에 대한 우려로 가격 상승 압력이 발생하였으나, 주요 수출국 간 경쟁이 지속되면서 가격 상승이 억제되었다. 옥수수의 경우에는 우크라이나 분쟁으로 물류 애로가 발생한 와중에 수입 수요가 증가하고, 브라질에서 생산량 전망이 하향함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다. 국제 쌀 가격은 특히 인디카종 쌀 수확의 영향으로 하락했다.

◇ (4월 유지류 가격지수) 130.9포인트 (전월 130.6포인트 대비 0.3% 상승)

팜유 가격과 대두유 가격이 하락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해바라기씨유와 유채씨유 가격이 상승하면서 전반적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팜유의 경우 주요 생산국의 산출량이 증가하는 가운데 수입 수요가 정체되었고, 대두유의 경우 남미 지역의 대두 생산 전망이 양호하여 가격이 하락했다. 반면에 해바라기씨유는 수입 수요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유채씨유는 유럽 일부 생산 지역의 기상 여건이 좋지 않아 가격이 상승했다.

◇ (4월 육류 가격지수) 116.3포인트 (전월 114.5포인트 대비 1.6% 상승)

국제 소고기 가격은 주요 수입국에서 국내 생산량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수입 수요도 높게 유지됨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다. 가금육의 경우 중동 지역에서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으로 생산이 어려워짐에 따라 수입 수요가 증가하여 가격이 상승했다. 반면 돼지고기 가격은 하락하였는데, 서유럽의 국내 수요와 중국 등의 수입 수요가 모두 저조하였기 때문이다.

◇ (4월 유제품 가격지수) 123.7포인트 (전월 124.0포인트 대비 0.3% 하락)

국제 버터 가격은 수입 수요가 꾸준히 높은 가운데 서유럽의 재고량이 부족해지면서 상승했다. 전지분유 가격도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계절적 영향으로 우유 생산이 줄어들면서 다소 상승하였다. 반면 탈지분유 가격은 서유럽을 중심으로 수출 가용량이 충분한 가운데 수입 수요는 저조하여 하락하였고, 치즈 가격은 미 달러화 강세의 영향으로 하락했다.

◇ (4월 설탕 가격지수) 127.5포인트 (전월 133.4포인트 대비 4.4% 하락)

인도와 태국에서 기존 전망치 대비 공급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설탕 가격이 하락했다. 브라질에서도 오랜 가뭄 끝에 3월 말에서 4월 초 사이 강우량이 개선되어 수확량에 대한 우려가 일부 해소되었고, 미 달러화 대비 브라질 헤알화 약세 역시 설탕 가격 하락에 기여했다. 다만, 국제 원유가 및 브라질 에탄올 가격 상승으로 인해 가격 하락 폭이 다소 제한되었다.

명목 및 실질 식량가격지수

2023/24년도 FAO 세계 곡물수급 전망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2023/24년도 세계 곡물수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망했다.

2023/24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846.1백만톤으로 2022/23년도 대비 1.2%(35.1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3/24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829.4백만톤으로 2022/23년도 대비 1.4%(37.7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3/24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은 889.6백만톤으로 2022/23년도 대비 2.1%(18.4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