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둠벙 관개시스템 ‘WHIS’ 등재

농축환경신문

webmaster@nonguptimes.com | 2020-12-15 09:27:17

국내 여섯 번째 유산…저수시설로 가뭄극복 지혜 고성 둠벙 관개시스템은 조선 후기 해안지역에 소규모로 445개가 분포되어 있다 ICID 제71차집행위원회의 화상회의 모습

한국관개배수위원회(KCID, 회장 김인식(한국농어촌공사 사장))는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 제71차 집행위원회에서 경남 고성군에 산재되어 있는 고성 둠벙관개시스템이, 세계관개시설물유산(WHIS, World Heritage Irrigation Structures)으로 등재 확정되었다고 9일 밝혔다.

세계관개시설물유산제도는 국제관개배수위원회가 2012년부터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관개시설물에 대하여 세계 각 국가위원회에서 신청을 받아 내용별 심사 후에 지정 관리하는 제도이다.

국내에서는 김제 벽골제, 수원 축만제, 수원 만석거, 당진 합덕제, 고성 둠벙까지 총 5곳이 등재되어 있으며, KCID는 올해 고성 해안지역 445개 분포되어 있는 둠벙시스템 등재를 추진했다.

이번에 등재된 고성 둠벙 관개시스템은 조선 후기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조성된 둠벙으로, 빗물이 바다로 빠져나가는 해안지역의 자연적 특성을 극복한 관개시스템이다.

특히, 관개시스템을 활용해 가뭄을 극복한 소규모 시설 저수지인 둠벙은 오랜 벼농사를 통해 습득한 선조들의 지혜를 이어받았다는 점에서 주목받아 2019년에는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되기도 했다.

한편, 8일 화상회의로 개최된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 제71차 집행위원회 회의에서는 최진용 한국관개배수위원회 부회장(서울대 교수)이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부회장으로 선출됐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