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조기검출 ‘항체 진단기술’ 개발
농축환경신문
webmaster@nonguptimes.com | 2020-05-20 08:38:43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 고려대학교와 공동협력 연구(한중 산학연 공동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를 통해 급성형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을 조기에 검출할 수 있는 항체 진단키트 개발에 성공했다.
ASF는 전염성과 치사율이 매우 높은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예찰과 조기 진단을 통해 질병 확산을 막는 것이 매우 중요하나, 그동안 국산 항체 진단키트가 없어 수입산을 이용해 왔다.
이번 연구는 생명연 감염병연구센터 정대균 박사 연구팀 및 고려대 약학대학 송대섭 교수 연구팀이 검역본부 해외전염병과 연구팀과 함께 공동으로 참여하였다.
단백질 공학 전문가인 생명연 정대균 박사 연구팀은 ASF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여러 단백질의 특성을 분석하여 후보 단백질(진단 항원)을 효과적으로 생산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바이러스 병원성 및 면역 분야 전문가인 고려대 송대섭 교수 연구팀에서 ASF 바이러스를 잘 검출할 수 있는 후보 단백질을 선발하여 시험용 항체 진단키트를 구성하였다.
또한, ASF 국가표준 진단기관인 검역본부에서 국내 급성형 ASF 감염 돼지의 혈청 시료를 이용하여 유효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번 공동협력을 통해 개발된 ASF 항체 진단키트를 검역본부에서 자체 평가한 결과, 새로운 진단키트는 급성형 ASF 감염 후 7~8일째부터 항체 검출이 가능, 현재 사용 중인 수입산 진단키트보다 3일 이상 검출 시기를 앞당길 수 있었다.
새로 개발된 기술은 지난 2월 국내 특허출원 후, 국내 진단키트 제조기업인 휴벳바이오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조만간 국산화될 예정이다.
검역본부 강해은 해외전염병과장은 “ASF 항체 진단키트 개발성공은 민관 각 분야의 전문가가 함께 연구 역량을 집중한 결과”라며 “진단키트의 국산화로 국내 ASF 국가방역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