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농업’ 내년 예산안 2,477억원 편성
농축환경신문
webmaster@nonguptimes.com | 2019-09-17 08:50:08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농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농식품부 소관 2020년도 예산안으로 2,477억원을 편성(주요사업 기준)하였다.
2020년도 편성된 예산안은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차질 없이 추진하면서 시설원예에 집중된 ‘스마트팜’을 농업 전분야로 확대하기 위해 올해에 비해 859억원이 확대(2019년 1,618억원→2020년 2,477억원)되었다.
특히, 스마트농업 정보기반(플랫폼) 구축(47), 스마트팜 정보통신기술(ICT) 기자재 국가표준 확산지원(45), 스마트팜 빅데이터 센터(39), 첨단무인자동화 농업생산시범단지 조성(6) 등 신규사업 예산안을 편성하여 스마트농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4월 ‘스마트팜 확산방안’을 통해 2022년까지 전국에 혁신밸리 4개소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밝혔고 1·2차 공모를 거쳐 경북(상주), 전북(김제), 경남(밀양), 전남(고흥)을 선정하였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농산업 클러스터이며, 세 가지 핵심시설*을 통해 청년 전문인력 양성(~2022, 500명)과 현장 농업인의 수요를 반영한 ‘스마트팜’ 기자재, 서비스의 개발 및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그간 노동집약적이고 경험 위주의 노지재배 방식을 주산지 중심의 데이터기반 영농으로 전환하기 위해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사업을 확대(2019 30→2020 88억원)하고, 스마트 축산단지를 올해 한우(경북 울진), 돼지(강원 강릉), 낙농(충남 당진) 등 3개소 선정한데 이어 2020년도에는 5개소를 추가 선정하여 악취 민원빈발 지역이나 시설이 노후화된 축산밀집 지역을 친환경적인 축산단지로 개편할 계획이다.
여기에 기존 농업인을 위한 ‘스마트팜’ 보급·확산 사업 또한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노후화된 원예 시설단지를 스마트화하여 기존 농업인의 생산기반을 개선할 계획이다.
윤동진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은 “스마트팜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발 빠르게 대처하지 않는다면 선진국과의 스마트팜 기술격차는 점차 벌어지게 될 것”이라며, “스마트팜 관련 2020년 예산안이 국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때까지 본 편성방향의 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