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 대비 0.8% ↓

김대경 기자

press@nonguptimes.com | 2025-06-10 07:48:49

가격하락: 곡물(△1.8%), 유지류(△3.7%), 설탕(△2.6%)
가격상승: 육류(+1.3%), 유제품(+0.8%)
명목 및 실질 식량가격지수

[농축환경신문]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5년 5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8.7포인트) 대비 0.8% 하락한 127.7포인트를 기록했다. 품목군별로 곡물, 유지류, 설탕 가격은 하락, 육류, 유제품 가격은 상승했다.

정부는 최근 식품 및 외식물가 상승으로 집밥수요가 증가한 상황에 맞춰, 소비자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덜어주고자 밥상물가 안정 농산물 할인지원 사업을 실시했다. 앞으로도 농축산물 할인지원 사업을 시의성 있게 추진하여 민생안정을 지원할 계획이다.

2025년 5월 품목군별 가격지수 변동원인

◇ (5월 곡물 가격지수) 119.0포인트 (전월 110.9포인트 대비 1.8% 하락)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에서의 수확이 전년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공급이 늘어나고, 미국의 2025년 옥수수 수확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옥수수 가격이 급격히 하락했다. 밀 가격은 수요 둔화와 북반구의 작황 개선으로 인해 소폭 하락했다. FAO 쌀 가격지수는 향미 수요 강세, 인디카 쌀 가격 상승, 일부 수출국 통화의 미국 달러 대비 평가 절상 영향으로 상승했다.

◇ (5월 유지류 가격지수) 152.2포인트 (전월 158.0포인트 대비 3.7% 하락)

팜유 가격은 동남아시아에서 계절적으로 생산량과 수출 가능량이 증가하면서 큰 폭으로 하락했다. 남미의 공급 증가와 미국의 바이오연료 원료 수요 둔화로 인해 대두유 가격도 하락했다. 유채씨유는 유럽연합의 수확이 임박하면서 공급 증가 전망이 반영되어 가격이 하락했고, 해바라기씨유는 수입 수요 약화와 가격 경쟁력 저하로 하락세를 보였다.

◇ (5월 육류 가격지수) 124.6포인트 (전월 123.0포인트 대비 1.3% 상승)

양고기 가격은 오세아니아의 수출 가격 상승과 중국, 중동, 유럽의 수입 수요 증가로 인해 상승했다. 돼지고기 가격은 독일이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회복하면서 수출 가격이 급등하고, 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상승했다. 소고기 가격은 주요 생산국의 수출 가능 물량 부족, 세계 수요 증가로 역시 상승했다. 반면, 닭고기 가격은 브라질에서 5월 중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이후 주요 수입국들이 수입을 금지하면서 공급 과잉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가격이 하락했다.

◇ (5월 유제품 가격지수) 153.5포인트 (전월 152.2포인트 대비 0.8% 상승)

버터 가격은 아시아와 중동의 강한 수요와 호주의 원유 공급 감소로 인해 높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유럽연합산 버터에 대한 수요 둔화가 추가 상승을 제한했다. 치즈 가격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외식 수요 증가와 악천후 및 질병 발생으로 인한 유럽연합 내 공급 부족으로 상승했다. 전지분유 가격은 중국의 강한 구매 수요와 제한된 공급 증가로 상승했다. 반면, 탈지분유 가격은 버터 생산지역의 수출 가능 물량 증가로 인하여 근동 및 북아프리카의 수요 증가에도 불구 소폭 하락했다.

◇ (5월 설탕 가격지수) 109.4포인트 (전월 112.3포인트 대비 2.6% 하락)

글로벌 경제 전망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식품 및 음료 산업의 수요 감소 우려 지속으로 설탕 가격은 하락했다. 인도와 태국에서 몬순 시즌이 조기에 시작되면서 2025/26년 글로벌 생산 회복 전망이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점도 가격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2025/26년도 FAO 세계 곡물수급 전망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2025/26년도 세계 곡물수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망했다.

2025/26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911.4백만톤으로 2024/25년도 대비 2.1%(58.8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5/26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898.2백만톤으로 2024/25년도 대비 0.8%(22.6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5/26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은 873.6백만톤으로 2024/25년도 대비 1.0%(8.3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