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 ‘화살깍지벌레’ 천적으로 방제
농축환경신문
webmaster@nonguptimes.com | 2021-10-19 04:35:00
‘화살깍지벌레’는 친환경 감귤 과수원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해충이다.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화살깍지벌레의 천적을 도입해 생태계를 해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밝혔다.
화살깍지벌레는 감귤나무의 수액을 빨아 먹어 나무 세력을 약화시킨다. 피해가 심하면 나무가 죽을 수도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화살깍지벌레 어른벌레(성충)는 두꺼운 왁스(Wax)층으로 된 깍지를 덮고 있어 약제 방제가 어렵다. 특히 친환경으로 감귤을 재배하는 농가는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방제하기가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농촌진흥청은 화살깍지벌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고자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화살깍지벌레의 천적인 기생좀벌 2종을 국내로 도입하는 기반을 마련했고, 법적 절차(농림축산검역본부 고시 2020-32호)를 마무리했다.
기생좀벌 2종은 ‘노랑감귤깍지좀벌’, ‘두줄박이깍지좀벌’로 화살깍지벌레 발생 밀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벌은 약 1mm의 크기로 화살깍지벌레 몸 안으로 산란관을 찔러 넣어 알을 낳는다. 알에서 태어난 애벌레는 화살깍지벌레 내부에서 영양분을 먹고, 화살깍지벌레를 죽게 한 뒤, 몸 밖으로 구멍을 뚫고 나온다.
농촌진흥청이 올해 5월 화살깍지벌레가 많이 발생한 감귤 과수원 1곳(9917㎡)을 대상으로 기생좀벌 2종 약 50마리를 방사한 결과, 2종 모두 안정적으로 과수원에 정착한 것을 확인했다.
나무에 발생한 화살깍지벌레의 약 35.4%에서 기생좀벌이 화살깍지벌레 몸 안으로 들어간 뒤 밖으로 탈출한 구멍을 발견했다.
농촌진흥청은 올해 10월부터 화살깍지벌레가 발생한 친환경 감귤 농가를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기생좀벌 2종을 방사할 계획이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