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농대 ‘아시아틱 백합’ 국산화에 앞장

농축환경신문

webmaster@nonguptimes.com | 2019-06-20 08:34:01

GSP 일환, 해외 로열티 문제 해결할 것으로 기대

국립한국농수산대학(총장 허태웅)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분화?조경용 아시아틱 백합의 국산화를 위해 지난 2014년부터 품종개발을 진행해 현재까지 11개의 아시아틱 백합 품종을 개발했고, 이를 화훼농가에 보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시아틱 백합의 자생지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과 중국 등 동아시아이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분화?조경용 아시아틱 백합의 경우 연간 약 50만개 가량을 네덜란드에서 수입하고 있다.

지난 2014년부터 한농대 화훼학과 송천영 교수가 골든씨드프로젝트(GSP) 원예종자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아시아틱 백합 국산화를 위한 품종 연구에 돌입했고, 현재까지 ‘딥레드리아송’과 ‘옐로우리아송’, ‘로즈리아송’ 등 아시아틱 백합 11개 품종을 개발하는 성과를 이뤘다.

한농대에서 개발한 아시아틱 백합의 경우 땅에서 꽃까지의 길이(초장)가 30㎝~50 내외이고, 작은 화분에서 심기 적합하며, 조경용의 경우 한번 심으면 매년 꽃이 피어서 투자 대비 효율성이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국내에서 이미 내병성과 내한성을 검증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환경과 기후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아시아틱 백합의 국산화를 통해 해외로 지급되는 사용료(로열티) 부담 등을 완화해 국내 화훼농가 경영비 절감에 일조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농대 허태웅 총장은 “한농대의 설립목적은 청년 인재를 양성하는 것도 있지만,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고 이를 많은 사람에게 전파해 우리나라 농업 기반을 튼튼하게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실습동에서 진행한 분화조경용 아시아틱 백합 공개강좌 및 품평회에 참여한 화훼학과 학생들이 12번째 개발 중인 한농19A-33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