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 소비심리 위축 및 물류 차질에도 불구하고 4월말 기준(누계) 농림축산식품 수출액이 23억 8,000만 불(잠정)로 전년비 3.8% 증가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대표 품목인 김치는 케이푸드페어(K-Food Fair) 개최, 우수성 홍보 등을 통해 ‘김치는 건강에 좋은 발효식품’이라는 인식을 확산시킴으로써 4천5.1백만 불 수출하여 전년비 30.7% 증가했다. 라면은 미국·중국·일본 등에서 온라인 판촉전과 영화 ‘기생충’과 연계한 마케팅, 소셜미디어·유튜브 방송 등을 활용한 조리법 소개 등으로 194백만 불 수출, 34.5%가 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세계 각국의 이동 제한 조치로 가정 내 소비가 많은 과자류, 소스류는 수출이 증가하였으나, 외식업체에서 소비가 많은 음료, 주류의 수출은 감소하였다.
국가별로는 미국·아세안·유럽연합(EU) 국가는 수출액이 증가하였으나, 일본과 중국은 소폭 감소하였다. 미국은 김치, 음료, 라면, 곡류조제품 등 수출 증가로 전년비 수출액은 35.3% 증가하였으며, 아세안과 유럽연합(EU)은 김치, 면류, 과자류, 소스류 등의 수출 증가로 전년비 수출액이 각각 3.8%, 11.1%가 증가하였다.
다만, 일본과 중국은 김치, 인삼, 라면 등의 수출이 증가하였으나 신선채소, 주류 등의 수출 부진으로 전년비 수출액은 소폭 감소하였다.
농식품부 박병홍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일본 등 농식품 수출 주력 시장의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농식품 수출에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다”며 “온라인 마케팅과 물류 지원 등을 확대하고 기능성식품 등 수출유망 품목도 발굴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