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웨이스트 기반, 고부가 소재 개발 산업체와 협력

[농축환경신문] 전라남도농업기술원(원장 김행란)은 농촌진흥청이 주관하는 국책 연구사업 ‘농산부산물 Eco순환 기술 개발’에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선정되어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했다.
이번 연구는 농산부산물의 성공적인 업사이클링 산업화를 목표로 ▲원료 공급 시스템 구축 ▲고부가가치 소재화 기술 개발 분야로 나뉘어 추진된다. 연구 기간은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이며, 총 127억 원 규모의 국비가 투입된다.
우선 전국 8개 도 농업기술원이 참여해 배, 사과, 배추, 무 등 20개 주요 작목의 부산물 발생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 구축 및 대량 처리에 적합한 원료 표준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전남농업기술원은 지역 주요 특산물인 배 부산물의 확보 및 공급 모델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시범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또한 배, 매실, 오미자 등 고당도·고섬유질 과실의 부산물을 90% 이상 재활용 가능한 ‘제로 웨이스트(Zero-waste)’ 기반의 다용도 소재 기술 개발도 병행된다. 이를 통해 광동제약, 농협식품R&D연구소, 제너럴바이오 등 산업체와 협력해 부산물에 잔존하는 유용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식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한 고부가가치 소재로 개발할 계획이다.
김행란 전남도농업기술원장은 “이번 국책사업을 통해 실용적이고 성공적인 업사이클링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농산부산물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