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축환경신문] 국민 여러분! 그리고 임업인·목재산업인·산림복지전문가·산림기술인 등 전국의 54만 산림산업인과 220만 산주 여러분!
희망찬 2025년의 새해가 밝았습니다. 여러분 모두 건강과 행복이 가득한 한 해가 되시길 소망합니다. 지난 2024년 우리는 ‘모두가 누리는 가치있고 건강한 숲’을 만들기 위해 힘찬 발걸음을 내디뎠습니다.
우리 숲이 주는 목재를 비롯한 임산물을 친환경 건축자재, 일상 속 식재료, 바이오소재 등 가치 높은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반들을 다져나갔습니다.
지역의 잘 가꾼 숲을 ‘산림랜드마크’로 조성하여 인구 유입에 기여하고 ‘숲교육’ 등의 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여 소멸위기 지역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었습니다. 현실로 다가온 기후위기에 대응하여 도시숲 등 다양한 탄소흡수원을 조성하였으며 멸종위기 수종 보호, 산림생태복원 등 생물다양성 증진에도 힘써왔습니다.
다른 한편 극단적인 기상현상이 빈번하여 산림재난 대응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과학적인 예방과 부처 간 협업 등 총력적인 대응으로 최소한의 피해에 그칠 수 있었습니다. 아울러 프랑스, 라오스 등의 국가들과 새롭게 시작한 산림재난대응, 산림탄소축적 등 산림협력은 우리나라의 기후위기 대응능력을 높이고 산림 선진국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뜻깊은 성과들을 거두기까지 함께 힘과 지혜를 모아주신 모든 분들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새해 산림청은 그간의 성과를 한층 발전시키기 위해 다음 다섯 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자 합니다.
첫째, 과학적이고 종합적인 산림재난 관리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겠습니다. 둘째,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산림의 역할을 강화하겠습니다. 셋째, 임업인이 산림경영으로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임업인 지원을 확대하겠습니다. 넷째, 숲을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핵심 자산으로 육성하겠습니다. 다섯째, 산림부문 민간시장과 신산업을 창출하겠습니다.
존경하는 국민과 산림산업인, 그리고 산주 여러분!
과거 일제의 수탈과 민족상잔의 비극으로 헐벗었던 우리 산림은 앞선 세대의 희생과 노력으로 짧은 기간 만에 울창하게 변할 수 있었습니다.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으로 임업인과 국민, 도시민과 산촌주민, 현재·미래세대, 인간·자연 모두가 누리는, 가치있고 건강한 숲을 만드는 것! 이것이 광복 80주년을 맞는 올해 나라를 위해 헌신하신 애국선열들께 우리 세대가 보답하는 길이라는 새해의 각오를 다져봅니다.
저를 비롯한 모든 산림공직자는 최선을 다해 뛰겠습니다. 새해에도 국민 여러분의 아낌없는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2025년 을사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