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전국 주요 철새도래지 200곳을 대상으로, 12월 9일부터 3일간 겨울철새 서식 현황조사를 하여 전국적으로 101종 약 156만 마리의 겨울철새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겨울철 조류 동시 총조사(센서스)’는 10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매달 실시하며, 겨울철새의 전국적인 분포 경향을 상세히 파악하여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대응에 활용한다.
이번 12월 전체 겨울철새 수는 전월인 11월에 비해 약 13만 마리(9%↑)가 증가했고, 지난해 12월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약 4만 5천 마리(3%↑)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인플루엔자 전파 가능성이 높은 오리과 조류(오리·기러기·고니류)는 전월 대비 약 16만 마리(15%↑), 전년동기 대비 약 2만 5천 마리(2%↑)가 증가했다.
겨울철새 및 오리과 조류는 금강호, 영암호, 동진강, 만경강 하류 등 전북 서해안지역과 전남 서남해안 지역에 집중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최근 일본에서 월동하던 흑두루미 중 일부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등에 의해 대규모로 폐사하여, 이를 피해 일부 개체들이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확인되어 이들 조류에 대한 도래 현황 파악도 함께 이루어졌다.
허위행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철새연구센터장은 “11월 21일에 일본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는 흑두루미를 포함하여 순천만에서 9천 800여 마리가 관찰되었지만, 이후 일부 개체는 일본으로 다시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현재 국내에 남아있는 개체들은 순천만을 중심으로 분산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