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폐기물 감축’ 정책 전환 필요
농축환경신문
webmaster@nonguptimes.com | 2022-04-08 05:05:00
농식품 폐기는 생산자 이윤 감소, 폐기물 처리 비용 지출 등 경제적 비용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생산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 등에 따른 환경 부담을 증대시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그동안 농식품 폐기 문제에 대한 관심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처리라는 사후적 접근에 치중되어 있어, 사전적 문제 해결방식으로 폐기물 감축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이 ‘농식품 유통 및 소비단계 폐기물 감축 방안’ 연구를 통해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농식품 폐기 현황과 실태를 파악·분석하여 사전적 문제 해결방식의 감축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책임자인 홍연아 박사는 “국내에 공급된 농식품 전체에서 폐기되는 비율은 약 14%로 추정되며, 이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약 20조 원으로 국내 농업부문 총 부가가치의 약 70%에 달하는 수준이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보고서를 통해 농식품 폐기 방지를 위한 사전적 문제 해결방식의 실천전략으로 농식품 재분배, 소비자 행동 변화, 공급체계 효율화, 농식품 폐기 방지 거버넌스 등 크게 네 가지 유형의 대안을 제시했다.
또한 농식품 재분배를 위한 정책 대안으로 농식품 기부, 마감 할인서비스 이용 확대와 집단급식소의 미배식 음식 재활용 등을 제안했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식품 기부를 통한 농식품 폐기 감축은 연간 최대 2,362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혔다.
특히 농식품 폐기 처리 및 관리제도 개선을 위한 대안으로는 음식물 폐기물 감량기 보급과 농식품 폐기물 배출자 관리체계 개선을 제안했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