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농업생산액 52조 2,930억원 ‘3.2%↓’

농축환경신문

webmaster@nonguptimes.com | 2022-01-25 03:20:00

KREI ‘농업전망 2022’…농업소득은 9.9% 증가한 1,299만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홍상)은 지난 1월 19일부터 20일까지 이틀 간 ‘농업 농촌 새 희망을 보다’란 주제로, 농업전망 2022대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사진은 김홍상 원장이 온라인 개회사를 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19일 발표한 ‘농업전망 2022’ 보고서에서 올해 농업생산액을 지난해보다 3.2% 감소한 52조 2,930원으로 전망했다.

주요 품목의 생산성 회복과 가격 하락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0.6% 감소하고, 한우·돼지의 도축물량 증가와 가금류의 생산량 회복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6.6%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농가소득도 축산물 가격 조정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축산물 생산 증가로 전년의 높은 가격 유지가 어려워 농가소득이 0.6% 감소하고, 농업소득은 축산물 가격 하락으로 전년 대비 6.9%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국내 농업생산액과 농가소득이 각각 7.8%, 4.3% 증가했다.

지난해 농업생산은 전년보다 7.8% 늘어난 54조 420억원, 농가소득은 4.3% 증가한 4,373만원으로 조사됐다. 당초 전망에서는 농업생산액 1.9% 증가한 52조 5,030억원, 농가소득은 1.5% 증가한 4,373만원으로 추정됐다.

농업 전반의 생산액 증가로 GDP 성장에 기여했다. 채소·과실 가격 상승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2.7% 증가했으며 한육우·돼지·계란 가격 상승으로 축잠업 생산액도 15.3% 증가했다. 또 공익직불 및 수급 조절 정책, 농축산물의 전반적인 가격 상승 등으로 농가소득을 개선했다.

농업소득은 농업총수입 증가로 전년 대비 9.9% 증가한 1,299만원을, 농외소득은 농업임금 상승 등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해 이전소득은 공익직불 시행 등 보조금의 수령액 증가로 전년대비 2.3% 올랐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